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홈 > 고객서비스 > 전문의 상담
동행 환자의 곁에서 늘 함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NO. 967 DATE. 2023.01.19 NAME. 서울** FILES.
서울석병원 홈페이지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 주신 내용 답변드립니다.
일단 환자의 나이에 따라서 골절 유합 속도와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소아의 경우는 골절 유합이 매우 잘 되기 때문에 어긋난 부분을 곧게하지 않고 팔자 붕대를 타이트하게 하지 않더라도 별 문제 없이 유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의 경우는 골절 부분이 많이 어긋나거나 어긋나지 않았더라도 골절 부분 움직임이 많거나 점점 더 어긋나게 되는 경우는 골절의 유합이 실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전에는 비수술적인 방법의 하나로 팔자 붕대를 타이트하게 해서 어긋나서 위로 올라가 있는 뼈를 아래로 누르는 효과를 기대하고 타이트하게 차서 겨드랑이쪽에 압박으로 혈액 순환이나 신경 마비를 걱정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최근에는 타이트하게 팔자 붕대를 할 경우는 차라리 수술적 치료로 금속판 나사못 등으로 고정해서 보다 확실한 골절 유합을 도모하고 수술후 관리도 보다 편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는 대개 팔자 붕대는 골절되어서 어긋난 부분의 뼈를 보다 곧게 하여(이것을 골절의 정복이라고 합니다) 이 정복된 상태를 유지하기 보다는 어깨 팔, 쇄골 부분의 움직임을 적게하고자 사용하는 것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세교정 밴드는 팔자 붕대의 역할을 할 수 없고, 전위된(많이 어긋난 경우) 골절 보다는 소위 금만 갔다고 하는 전위가 적은 골절이 어느 정도 힘을 받을 수 있는 유합까지 시간이 더 적을 것으로 생각되고, 완전히 누울 경우는 골절부위를 전위시키는 힘이 더 많이 가해질 수 있고, 30-40도로 소파에 기댄 것 같은 상태가 전위가 되지 않게 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몇주 동안 이런 자세로 잘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전언보다는 실제로 엑스레이 등 상태를 보고 좀 더 도움이 되는 소견을 제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든 골절이 반드시 비수술적으로 치료해야 하거나, 반드시 수술적으로 치료를 해야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두 치료 중에서 성공적인 골절 유합을 얻기에 더 유리하고 편리하고, 덜 위험한 것 등 제반을 검토하고 이에 적절한 치료를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환자에게는 더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상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석병원
번호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등록일 |
---|---|---|---|---|
425 | ![]() |
서울** | 1,034 | 2023.02.14 |
424 | 걸음교정 ![]() |
Gue** | 1,567 | 2023.02.05 |
423 | ![]() |
서울** | 961 | 2023.02.07 |
422 | 원장님께 문의사항 여쭤봅니다 ![]() |
Gue** | 89 | 2023.02.01 |
421 | ![]() |
서울** | 945 | 2023.02.07 |
420 | 이기석 병원장님께 문의드립니다 ![]() |
Gue** | 163 | 2023.01.29 |
419 | ![]() |
서울** | 976 | 2023.02.07 |
418 | 이기석 병원장님께 문의드립니다 ![]() |
Gue** | 552 | 2023.01.29 |
417 | ![]() |
서울** | 1,020 | 2023.02.07 |
416 | 쇄골골절 문의 ![]() |
Gue** | 892 | 2023.01.18 |
415 | ![]() |
서울** | 1,286 | 2023.01.19 |
414 | 키성장 ![]() |
Gue** | 1,295 | 2023.01.18 |
413 | ![]() |
서울** | 1,158 | 2023.01.18 |
412 | 원장님 안녕하세요^^ ![]() |
Gue** | 923 | 2023.01.17 |
411 | ![]() |
서울** | 1,115 | 2023.01.17 |